-
환승띠를 돌려주세요 - 서울지하철3호,7호,9호선 고속터미널역 (2009.7.26)본역사(한국철도)/①층 - 역(驛) 2010. 2. 14. 18:57
(바로 아래 사진부터 5장은 7월 26일에 찍은 것은 아닙니다.)
고속터미널역은 서울지하철 3호선과 7호선과 9호선, 무려 3개의 노선이 만나는 역이랍니다^^
그만큼 역의 규모도 크고 유동인구도 매우 많아요.
물론 유동인구가 많은 것은 주변에 강남 터미널과 서울성모병원 등 커다란 시설들이 많아서이기도 하지만요^^
원래 고속터미널역은 3호선과 7호선의 환승역이었는데요, 작년 7월에 9호선이 개통되면서
종로3가역, 신도림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왕십리역에 이어 5번째로 3개 노선이 환승하는 역이 되었답니다^^
7호선 강남구간에는 이런 식의 대리석 바닥과 벽을 많이 볼 수 있는데요,
지하철역도 빈부격차가 있나요;;;
바로 위 사진까지는 9호선이 개통되기 전이라서 아예 지도에도 9호선이 없네요^^;;
이제부터 그럼 바로 7월 26일의 9호선 고속터미널역 사진 들어갑니다~
위의 9호선 승강장에 있는 안내도에서 보시듯이 3개 노선의 고속터미널역은 저런식으로 만난답니다.
7호선 승강장과 9호선 승강장은 좀 멀어보이죠? 근데 먼 것뿐만 아니라 구조상으로도 환승하는데 좀 힘이 든답니다.ㅋㅋ
그 얘기는 이따가 해드릴게요~
고속터미널역은 9호선 급행열차 정차역이기도 해요.
이곳은 고속터미널역 지하4층에 위치한 9호선 대합실입니다.
이거 작년에 9호선 개통될 쯤에 인터넷 뉴스 기사에서 많이 보시지 않았나요?
물론 모습도 정말 멋지고 웅장하지만,
굉장한 고난이도의 기술로 지어져서 세계적으로도 인정을 받은 구조물이라고 합니다.
저 천장의 불과 15cm 위로 3호선 열차가 달리고 있다고 해요...
9호선에서 3호선이나 7호선으로 갈아타기 위해서는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위로 올라가야 합니다.
그런데 여러분 윗 사진은 분명히 '환승통로'인데 뭔가 없는 것 같은 느낌이 느껴지지 않으세요?
네! 바로 '환승띠'가 없어요... 아니 환승통로 벽에 환승띠가 없다니...
뭐 9호선 환승역들을 이용해보신분들은 지난 여름부터 거의 깨달으셨겠지만,
새로 개통된 9호선 환승역들에는 거의 환승띠가 없습니다. 왜 그럴까요?
서울특별시는 '디자인 수도 서울'을 표방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서울시를 디자인'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요,
'서울시 디자인 가이드 라인'에 보면 지하철 역사 디자인의 가이드 라인도 있다고 합니다.
그 걸보면 전체적으로 지하철역을 아주 깔끔하게 하는 것이 목적인데,
이를 위해 불필요한 표지판들이나 시설물들은 모두 없애버린다고 합니다.
근데 여기에 환승띠가 포함되었고, 또 여러 역명이 나열된 형식의 타는 곳 혹은 환승통로 안내 표지 등이 포함되었어요.
그래서 이번 9호선 역들을 자세히 보면 환승 안내 표지판이나, 타는 곳 안내판에도 고작 역명이 2개 정도만 나열되어 있어요.
기존의 서울메트로나 서울도시철도공사에서 사용하는 역명판에는 방면별로 6~7개의 역명이 나열되어 있었던 것에 반해서요.
뭐 사실 9호선을 처음 탔을 때는, '와! 정말 깔끔하고 깨끗해 보인다!'라고 생각했지만,
안내 표지의 부족으로 인해서 역사 내에서 길을 헤매시는 여러 이용객들을 보고 나서는
이게 좋은 것이 아니구나... 하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안내판이 이렇게 지나치게 단순화 되다 보니,
평소 환승띠에 의지하거나 여러 역명이 쓰여져 있는 안내판에 익숙했던, 지하철 타는 것에 익숙하지 않거나 길눈이 어두우신 분들은
자신이 가는 방향이 올바른 방향인지에 대해 확신을 갖기 어렵고,
당연히 길을 제대로 못찾고 헤매시고, 이 사람 저 사람 붙잡고 물어볼 수 밖에 없게 되는 거죠.
개인적으로는 9호선 역들에 환승띠와 좀 더 자세한 안내판을 설치했으면 좋겠고,
앞으로 짓는 지하철역도 그렇게 만들어졌으면 좋겠습니다.
9호선과의 환승역들에는 환승통로 가운데에 새로운 것이 등장했습니다.
바로 '환승게이트'인데요, 반드시 환승게이트에 교통카드를 찍고 통과해야 한답니다.
가끔씩 보면 여기에 카드를 찍으면 요금이 더 나가는 줄 아시고 카드를 안찍으시려는 분들이 계시는데,
안찍으시면 통과가 불가능할뿐만 아니라, 이것의 용도는 단지 공사들과 민자회사인 (주)9호선운영의 정확한 수익분배를 위한 목적일뿐이므로
요금이 더 나갈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9호선 고속터미널역과 7호선 고속터미널역의 경계지점입니다~^^
운영회사가 바뀌는 지점에 간단한 표시를 원래 하기는 하는데,
고속터미널역에서는 도시철도공사가 유난히 손님들을 반기네요.ㅋㅋㅋ
아 역시 도시철도공사 구간에 들어오자마자 환승띠도 보이고 여러 역명이 자세히 쓰여진 안내표지도 보입니다.
으잉 그나저나 4호선 총신대입구역의 7호선 역명은 '이수'역인데,
이 안내판에는 왜 총신대입구라고 되어 있는거지...
이 정도로라도 자세히 써주면 참 편할텐데... 솔직히 여러분 이게 그렇게 지저분해 보이나요?
저는 전혀 그렇게 느껴지지 않는데요...?
서울시에서 좀 유난을 떤다는 느낌이 들기도 해요.
이렇게 환승띠가 있으면 벽에 있는 환승띠만 보고 가면,
처음 환승을 하는 사람도 쉽게 따라갈 수 있는데 말이죠... 이게 미관을 크게 해치는 것 같지도 않고요.
그나저나 아까 분명히 9호선 대합실에서 올라와서 긴 통로를 한참 걸어왔는데
다시 내려가네요... 9->7환승은 정말 복잡하군요...
그 이유는 바로 복잡한 역의 구조 때문이에요.^^
9호선 고속터미널역의 승강장은 지하 5층에 있고요, 7호선 고속터미널역의 승강장은 지하 3층에 있는데요,
그럼 그냥 올라가기만 하면 될 것 같지만, 중간에 3호선 승강장과 선로가 있잖아요.
그래서 9호선 승강장에서 지하 4층 9호선 대합실로 올라간 다음, 다시 지하2층 9호선 대합실 으로 올라가서
3호선 선로 위층을 따라 걷다가 3호선 지하2층 대합실 옆을 지나 지하 2층 7호선 고속터미널역 대합실로 내려가는거죠.
3,9호선 지하2층보다 7호선 지하2층이 약간 더 낮기 때문에 같은 지하2층이라도 에스컬레이터로 내려가야한답니다.
어쨌든 7호선 대합실을 지나서 지하 3층 7호선 승강장으로 내려가게 되는 것이죠^^
헥헥... 환승 한 번 하기 힘드네요;;
어쨌든 7호선 고속터미널역에 도착했습니다. 으잉. 여기도 슬슬 서울시 디자인 가이드 라인이 적용되고 있는 모양이군요.
세 노선이 만나는 역이지만, 서울시 디자인 가이드 라인에 의해 더 이상의 환승띠 추가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3호선과 7호선 색깔의 두 가지 벽띠만 설치되어 있습니다.
강남의 7호선 역들답게 고급스럽네요~ㅎㅎㅎ
그럼 이상으로 고속터미널역 포스트를 마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고속터미널역 주변 지도 +
(여러분이 자유롭게 조정하시며 보실 수 있습니다^^)
+ 고속터미널역 소속 및 주소 +
- 서울지하철3호선 고속터미널역 소속 : 서울메트로
- 서울지하철7호선 고속터미널역 소속 :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 서울지하철9호선 고속터미널역 소속 : 서울9호선운영
- 서울지하철3호선 고속터미널역 주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1동 162번지
- 서울지하철7호선 고속터미널역 주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19-3번지
- 서울지하철9호선 고속터미널역 주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1동 162번지
+ 고속터미널역 근처 역 +
- 서울지하철3호선 : 대화방면←---[신사]---[잠원]---[[고속터미널]]---[교대]---[남부터미널]---→수서방면
- 서울지하철7호선 : 장암방면←---[논현]---[반포]---[[고속터미널]]---[내방]---[이수]---→온수방면
- 서울지하철9호선 : 개화방면←---[구반포]---[신반포]---[[고속터미널]]---[사평]---[신논현]
*서울지하철3호선 신사역, 잠원역, 교대역, 남부터미널역은 3호선 전동열차를 이용해서 가실 수 있습니다.
*서울지하철7호선 논현역, 반포역, 내방역, 이수역은 7호선 전동열차를 이용해서 가실 수 있습니다.
*서울지하철9호선 구반포역, 신반포역, 사평역, 신논현역은 9호선 일반전동열차를 이용해서 가실 수 있으며, 신논현역은 급행전동열차로도 가실 수 있습니다.
*위의 역명 중 초록색으로 된 역명을 클릭하시면 그 역의 가장 최근에 올라온 포스트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2009.2.14. 경춘선통일호™
여러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본역사(한국철도) > ①층 - 역(驛)' 카테고리의 다른 글
Black&White - 중앙선 용문역 (2009.12.28) (0) 2010.07.22 안녕4 - 중앙,경원선 청량리역 (2010.3.4) (0) 2010.03.08 한국에서 이름이 가장 긴 역 - 경의,6호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 (2009.7.5) (0) 2009.09.27 안녕3 - 경춘선 상천역 (2009.8.31) (0) 2009.09.10 The Special - 경원선,서울지하철3호선 옥수역 (2009.6.24) (0) 2009.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