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離門 - 경원선 신이문역 (2010.6.1)본역사(한국철도)/①층 - 역(驛) 2010. 9. 26. 01:28
지금은 벌써 날씨가 슬슬 추워지고 있지만,
날씨가 한참 더워지고 있던 6월의 첫날, 경원선 신이문역에 다녀왔습니다.
신이문역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이문동에 위치하고 있답니다.^^
'이문(里門)'은 조선시대에 방범초소와 같은 역할을 하던 곳을 말한답니다.
그 이문이 위치한 곳이 바로 지금의 이문동 지역이었기 때문에 동 이름이 이문동이 된거에요.
신이문역에 '신(新)'이 붙은 이유는, 원래 이문역이 있었기 때문이랍니다. 아마 처음 들어 보시는 분들도 많을 것 같네요.
이문역은 망우선에 있던 역입니다. 망우선은 망우역에서 성북역을 잇는 짧은 노선입니다.
만약 망우선이 없다면, 경원선 신탄리 방향 - 중앙선 경주 방향으로 갈 때 왔다갔다 귀찮은 일이 많게 되는데,
망우선이 있어서 바로 통할 수 있으니, 망우선은 일종의 삼각선이라고 봐도 크게 문제가 없겠네요^^
망우선은 주로 성북역에서 출발, 도착하는 중앙선 방면 화물열차가 이용한답니다
참! 위의 설명이 이해가 안가시는 분들은 이 지도를 보세요^^
빨간색이 경원선, 파란색이 중앙선, 노란색이 망우선이랍니다. 이걸 보시면 이해가 어느 정도 되실거에요.
지금은 이문차량기지가 생기면서 이문역은 폐역되었어요.
근데 이 포스트 제목은 도대체 왜 한자가 다른 '이문(離門)'일까요??
뭐 별건 아닌데요, 이 얘기는 조금 밑에서 해드릴게요^^;;
사실 신이문역은 그다지 특징이 있는 역은 아니에요^^
그저 그런 경원선의 조금 오래된 수도권 전철역이랍니다.
다만, 제가 아주 어릴 때부터 많이 봐온 역일 뿐이에요.
근데 또 가 본 것은 이 때, 2010년 6월 1일이 처음이었어요.
신이문역을 처음 본 건 2000년에 춘천에 이사와서 엄마랑 기차를 타고 서울에 놀러가던 중 신이문역을 통과한게 처음이었는데,
거의 10년만에 처음으로 신이문역을 와 봤네요^^
신이문역은 바로 다음역인 외대앞역과 정말 가깝답니다^^
위의 사진을 보세요!! 저기 보이는 전동차는 지금 외대앞역에 정차해 있는 거랍니다.ㅎㅎㅎ
정말 가깝죠?
외대앞역에서도 신이문역에 있는 열차를 육안으로 확인하는게 가능해요^^
저 멀리 보이는 역 위를 덮고 있는 구조물은 바로 옆으로 지나가는 고가도로의 교각 대신 설치된 구조물이랍니다^^
원래 있던 경원선 선로 가운데에 교각을 설치할 수 없었기 때문에 선로 위를 덮는 구조물을 설치한거죠^^
이제 출구로 나가보겠습니다^^
5번 출구로 나왔습니다.
신이문역의 출구는 정말 말그대로 사방으로 흩어져 있어요.
물론 거의 모든 지하철, 전철역들의 출구가 다 흩어져 있죠, 당연히^^ 1,2,3,4,5,6....번 출구가 다 같은 방향을 향해 있다면 말이 안되겠죠.
근데 굳이 이렇게 표현하는 건 정말, 1,2,3번 출구와 4번 출구, 그리고 5번 출구가 정말 승강장을 제외하고는 어떠한 연결고리도 없이 떨어져 있거든요.^^;;
왜 이렇게 됐냐면요, 원래 신이문역에는 승강장 북쪽 끝에 1,2,3번 출구만 있었는데,
역사 남쪽 지역 주민들이 코앞에 역을 두고도 이용을 위해서는 북쪽까지 가야 하는 불편함을 덜어주기 위해,
2007년 4월에 신이문 남부역사를 만들어 출구를 냈어요. 하지만, 양쪽 출구를 아예 건물을 달리해서 따로따로 낼 수 밖에 없는 구조였답니다.
그래서 한 역이지만 각자 연결되는 부분 없이 다 따로 따로 떨어져 버린 모습이 되어버린 거에요.
그래서 오늘 포스트 제목도 '헤어져 있는 문'이라는 억지 해석이 가능한 '이문(離門)'이랍니다^^;
솔직히 말씀드리자면, 도저히 뭐라고 제목을 지어야 할지 떠오르지가 않아서 억지로 지은 제목이에요.ㅋㅋㅋ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원래 이문의 '이'는 마을 리 자를 쓴답니다^^
그래서 결국 신이문역은 역사가 3개인 모습이 되어버렸답니다.
윗 사진은 5번 출구 전용역사라고도 할 수 있겠군요^^
지하통로를 통해 반대편 4번 출구로 가보도록 하겠습니다.
4번 출구쪽의 역사는 5번 출구쪽 역사보다는 조금 단촐하게 생겼네요^^
아쉽게도 1,2,3번 출구쪽은 가보지 못했는데요, 인터넷에서 찾아서 링크라도 걸어드리려고 했더니 도저히 못찼겠네요.ㅠ.ㅜ
그냥 평범한 좀 낡은 전철역사라고 생각하시면 될거에요^^
아! 저 밑에 로드뷰 캡쳐로 보여드리면 되겠네요!
로드뷰 캡쳐 두 번째 사진에는 이문차량기지도 보여요.
신이문역, 석계역 사이를 지나다가 옆을 보면 이문 차량기지가 보인답니다^^
수도권전철 1호선의 일부 전동차와, 중앙선의 전동차들을 담당하는 차량기지에요^^
원래는 1호선 차량기지이지만, 중앙선의 용문차량기지가 아직 공사중이라 중앙선 열차도 이문차량기지를 사용하고 있답니다.
고층 아파트들과 대조되는 신이문역 바로 주변지역의 낡은 가옥들...
신이문역 주변은 정말 그야말로 서울의 조금 오래되고 평범한 주택가 풍경이랍니다.
신이문역의 부기역명은 '한국예술종합학교역'이에요. 이 근처에 한국예술종합학교 석관동 캠퍼스가 있거든요^^
한국예술종합학교는 우리나라에서 예술 관련분야에서는 정말 최고의 대학이랍니다~
제가 아는 분들 중에서도 한예종을 목표로 공부하시는 분들이 굉장히 많았답니다.
석관동 캠퍼스에는 한예종 본부와 음악원, 무용원을 제외한 다른 원(?)들이 모두 있습니다.
음악원과 무용원은 서초동 캠퍼스에 있다고 하네요^^
저희학교와도 교류협정을 맺은학교라 저는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계절학기를 듣는 등 교류를 할 수 있답니다^^
언제 한 번 한예종에서 계절학기를 들어보고 싶은데, 어떤 과목들이 있으려나요... 궁금하네요^^
그럼 이상으로 신이문역 포스틀 마치겠습니다^^
사실 신이문역 자체에 대해 쓸 내용이 도저히 떠오르지를 않아서
이것저것 생각나는대로 짜내어서 썼는데요, 그 탓에 오늘 포스트는 좀 난잡하지 않나 하는 느낌이 들었어요.ㅠ.ㅜ
이해해 주실거죠?^_^
+ 주변 지도 +
↑ 신이문역 2,3번 출구쪽 모습입니다.
사진 가운데에 보이는 출구가 2번 출구이고, 오른쪽 방음벽 위로 넘어가는 계단이 망우선을 넘어 근처 아파트단지쪽으로 연결되는 3번 출구랍니다^^
↑ 신이문역 1번 출구쪽 모습과 이문차량기지의 모습입니다.
+ 신이문역 소속 및 주소 +
- 소속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 성북그룹역
- 주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한천로 472 (이문동 64-6)
+ 신이문역 연혁 +
1980.01.05. 역원배치간이역으로 영업개시
1983.08.06. 운전간이역으로 승격
2007.04.13. 남부역사 영업개시
+ 신이문역과 같은 노선의 근처 역 +
- 경원선 : 용산방면←---[회기]---[외대앞]---[[신이문]]---[석계]---[성북]---→신탄리방면
* 경원선 회기역, 외대앞역, 석계역, 성북역은 1호선 전동열차를 이용하여 가실 수 있습니다.
* 위의 근처 역 중 초록색으로 표시된 역명을 클릭하시면 이 블로그 안의 그 역의 이 글이 올라오기 전 가장 최근 포스트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2010.9.26. 경춘선통일호™
'본역사(한국철도) > ①층 - 역(驛)'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람개비야 돌아라 - 옛 경춘선 김유정역 (2010.12.20) (0) 2011.03.20 ㅡ.ㅡ - 경춘선 퇴계원역 (2010.7.21) (0) 2010.11.01 숲 옆 작은 간이역 - 경춘선 사릉역 [2] (2010.7.21 등) (0) 2010.08.28 숲 옆 작은 간이역 - 경춘선 사릉역 [1] (2010.7.21) (0) 2010.08.11 애매함 - 병점기지선 서동탄역 (2010.3.8) (0) 2010.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