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의 환승역 - 경부,충북선 조치원역 (2007.2.25)본역사(한국철도)/①층 - 역(驛) 2007. 5. 21. 01:26
서울역에서 부산행 무궁화호 열차를 타고 가다 조치원역에 내렸습니다.
내린 사람도 꽤 많았지만, 타는 사람은 더 많았습니다.
충청남도 연기군 조치원읍, 지방 읍에 소재한 역에 왜 이렇게 사람이 많은 걸까요?
조치원역은 경부선과 충북선이 분기하는 역입니다.
충북선 열차는 서울-안동 무궁화호를 제외하고는 모두 대전이나 조치원에서 제천까지 운행합니다.
즉 서울쪽에서 충북선상의 도시들에 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열차를 한 번 갈아타야만 하죠.
사람들이 열차를 갈아타는 바로 그 역이 '조치원역'입니다.
이 글의 제목이 '충남의 환승역'인 것도 그 이유 때문이죠.
아~ 혹시 천안역이 충남을 대표하는 환승역이 아닐까 하고 의문을 가지시는 분들도 계실 것 같은데요,
경부선과 장항선이 분기하는 천안역은 사실상 '환승역'으로서의 기능은 별로 없습니다.^^;;
서울쪽에서 청주, 충주 등 충북선상의 도시에 가려면 반드시 조치원에서 열차를 갈아타야 하지만,
장항방면으로 갈 때는 그냥 서울의 용산역에서
장항행 새마을호나 무궁화호를 이용하면 한 번에 갈 수 있거든요.^^
조치원역은 그러한 특성인지 경부선의 주요역 중에 하나로 굳게 자리잡고 있습니다.
하루에 정차하는 열차만 해도 새마을호가 48편, 무궁화호가 110편, 모두 158편의 열차가 정차합니다.
대단히 많은 수의 열차이죠.
조치원역사는 1999년에 완공되었습니다.
지붕부분도 특이하고 멋지게 잘 지은 것 같아요.^^
내부구조도 상당히 특이했는데,
일반적인 역처럼 들어가면 표 사는 곳, 편의점, 대합실, 화장실이 다 같이 있는 것이 아니라,
들어가면 얼마 공간이 없고 바로 정면에 '표사는 곳'과 우측에 델리만쥬를 파는 곳이 있고요,
에스컬레이터나 계단을 이용해 2층으로 올라가면 대합실이 나온답니다.
대합실에서는 1층 입구를 내려다 볼 수 있고요.
조치원은 철도교통의 요지라서 그런지 군소재지의 읍인데도 불구하고 꽤 번화한 모습이었습니다.
여기서 잠시 '조치원'이라는 지명유래에 대해 살펴보면요,
신라 때 '최치원'이 이 곳에 시장을 세웠고, 그 시장의 이름을 '최치원 시장'이라고 했는데,
그것이 세월이 흐르면서 와전되어 '조치원'이 되었고,
지금은 그냥 행정구역명으로 굳어서 쓰이게 된 것이지요.
조치원역 2층 대합실의 모습입니다.
이용객 중 상당수가 환승객들입니다. 열차에서 내리자마자 역사로 들어와
다른 열차로 갈아타기 위해 기다리는 승객들이죠.
전광판 우측 아래에 보이는 곳이 개찰구입니다.
제가 탈 열차는 10:30분 제천행 무궁화호 열차입니다.
조치원역에서 충북선 열차를 타실 � 주의하실 점이 있는데요!!
경부,호남,전라선 열차 같은 경우에는 개찰구로 들어가서 그냥 안내되는대로 타면 되지만,
충북선 열차는 개찰구로 들어가지 않고 대합실 오른쪽 좁은 계단으로 나가야 합니다.
저와 엄마와 동생도 개찰구로 들어갔다가 역무원분이 안내해 주셔서
다시 나와서 오른쪽 계단으로 내려갔답니다.^^;;;
승강장으로 내려가자마자 도착하는 광주행 무궁화호 열차.
충북선 열차를 타는 곳은 '1번 타는 곳'입니다.
너무 일찍 나왔는지 나올 때 도착했던 광주행 무궁화호가 벌써 남쪽으로 떠나가고 있습니다.
열차를 갈아타기 위해 기다리고 있는 환승객들.
뒤에 쌓여 있는 컨테이너들을 보니 화물취급도 많이 하는 것 같았습니다.
드디어 안내방송과 함께 8232호 기관차 견인 제천행 무궁화호가 특유의 소리를 내며 들어왔습니다.
[조치원역 소속 및 주소]
- 소속 : 한국철도공사 대전지사
- 주소 : 충청남도 연기군 조치원읍 원리 141
[조치원역 연혁]
1905.01.01. 보통역으로 영업개시
1925.04.01. 역사 신축 준공
1958.05.15. 충북선(조치원~봉양) 개통
1999.01.07. 현 역사 신축 이전
1999.05.19. 현 역사 신축 준공
2006.05.01. 소화물취급 중지2007.5.21.
™
'본역사(한국철도) > ①층 - 역(驛)'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칭이동 - 경의선 신촌역 (2007.2.17) (0) 2007.06.18 충북선의 네번째 역 - 충북선 오근장역 (2007.2.26) (0) 2007.06.11 충북의 환승역 - 중앙,태백선 제천역 (2006.8.14) (0) 2007.04.08 의정부북부역이 어디갔나 했더니 - 경원선 가능역 (2007.2.17) (0) 2007.03.24 환골탈태(換骨奪胎) - 경원선 지행역 (2007.2.17) (0) 2007.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