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남, 그리고 헤어짐 - 경부선,경인선 구로역 (2013.2.24)본역사(한국철도)/①층 - 역(驛) 2013. 4. 12. 02:08
안녕하세요.^^ 어느덧 벌써 4월 12일인데, 아직도 3월의 역 시리즈를 소개해 드리고 있네요;;
어쨌거나 오늘은 경부선, 경인선 '구로역'에 대해 이야기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구로역은 지난 2007년에 이미 제 블로그에서 한 번 소개해 드린 적이 있는데요,(사실 2005년에 찍은 사진으로 2007년에 소개해 드린 포스트였죠.)
스크린도어가 생긴 것을 제외하고는 달라진 게 별로 없는 것 같더라고요. 물론! 스크린도어가 생긴 것은 매우 중요하고 긍정적인 변화이지만요.^^
구로역은 1호선과 1호선의 환승역이자, 급행열차 정차역(용산-천안/용산-동인천)이기 때문에,
서울-천안 급행을 제외한 모든 1호선 열차가 정차하는 역이랍니다.^^
1호선과 1호선의 환승역이 무슨 말이냐고요?
수도권 전철 1호선 같은 경우는 총 4 갈래로 나뉜답니다.
북쪽 소요산역부터 따져보면, 소요산역에서 구로역까지는 쭉 한 줄이랍니다.
구로역에서 두 줄로 나뉘게 되죠. 인천 방향과 신창 방향으로 나뉩니다.
인천 방향은 그 후로 인천역까지 쭉 한 줄인데, 신창 방향에서는 중간에 금천구청역에서 광명 방향으로 한 번 또 나뉘고,
그 밑으로 쭉 내려가다 병점역에서는 서동탄 방향으로도 한 번 나뉜답니다.
이렇게 여러 갈래인데다가, 경기도 북부에서 인천 서부, 충청남도까지 닿는 바람에 워낙 길이도 길어서 열차의 운행 계통도 굉장히 복잡한 편이에요.
급행이 아닌 일반 열차들의 운행 계통을 크게 나누어 보면 (소요산-인천 / 광운대-서동탄 / 청량리-신창 / 영등포-광명) 정도가 되겠네요.^^
이렇기 때문에 같은 1호선이라도 한 번에 못 가는 구간이 발생하게 된답니다.
예를 들어 소요산역은 신창역과 같은 1호선이지만, 신창역에 가는 열차는 청량리역 이남에서만 탈 수 있기 때문에,
같은 1호선이라도, 소요산역에서 출발해서 쭉 내려오다가 청량리역 이남에서 반드시 한 번 열차를 갈아타야 하는 것이죠.
사실 이렇게 간다면 개인적으로는 청량리역에서 갈아타는 것을 추천해요.ㅋㅋ 청량리역이 출발역이기 때문에 앉아갈 수 있잖아요!ㅎㅎ
하지만, 보통 일반적으로는 그냥 쭉 타고 가다가 구로역에서 방향 나뉘니까 갈아타시라는 안내방송 나오면 그 때 갈아타시는 분들이 많더라고요.^^
('자구파'님이 댓글을 통해 알려주셨는데, 출퇴근 시간에 한정해 광운대-신창을 한 번에 가는 열차도 최근 운행되기 시작했다고 하네요.^^ 감사합니다!)
어쨌거나 구로역은 1호선이 한 줄로 내려오다가 크게 두 갈래로 나뉘는 역이 되기도 하고,
또 한편으로는 인천과 신창(충남 아산시)에서 각자 먼 곳에서 오다가 서울에 들어오자마자 만나서 한 줄로 올라가기도 하는,
서울과 헤어지는 역이 되기도, 혹은 서울과 만나는 관문 역할을 하는 역이 되기도 한답니다.
또, 굳이 전철이 아니더라도, 경상도나 전라도, 충청도에서 경부선이나 호남선 KTX, 새마을, 누리로, 무궁화 열차를 타고 들어오면
이제 구로역 쯤 온 것 같다 싶으면 이제 '아! 서울 들어왔구나!'하는 생각 들지 않나요?^^
또 구로역은 창밖을 잘 보고 있으면 눈에 확 띄어요.
구로역 진입 전에 갑자기 철도 선로가 마구 엉키는 것이 보이거든요.^^
고속도로의 복잡한 인터체인지처럼 구로역 남쪽에서 경부선과 경인선이 분기를 하기 때문이에요.
구로역이 지금은 서울과 인천을 잇는 경인선 철도의 기점역으로 되어 있지만,
사실 1899년 경인선이 처음 개통되었을 때는 아예 존재하지도 않던 역이었답니다.ㅎㅎㅎ
하지만, 그 후 경부선이 개통되면서 노량진역에서 지금의 구로역이 지정한 위치까지의 구간은 경부선에 편입되었고,
구로역은 그리고 나서 수십 년 뒤인 1969년에 경부선, 경인선의 분기점에 신호소로 개업하면서 자연히 경인선의 기점이 된 것이죠.
(사실 중간에 폐지되었다가 다시 부활하긴 했어요.)
1번 플랫폼과 2번 플랫폼은 같은 방향 플랫폼으로 사용되고 있었는데요,
1번 플랫폼은 광운대역(舊 성북역)까지만 운행되는 것으로 추측해보면
아마도 경부선 라인(신창, 병점, 서동탄) 쪽에서 올라오는 선로인 것 같고,(신창에서 온 건 청량리역까지만 가겠죠?^^)
2번 플랫폼은 소요산역까지 가는 것으로 봐서 인천역에서 온 경인선 라인의 열차가 정차하는 곳 같네요.
그러면, 청량리 이남으로 가는 승객들은 여기서 열차를 어떻게 이용할까요?
복불복으로 1번이나 2번 아무데나 골라서 내려갔다가 1번 골랐는데 2번이 먼저오면 '아 아쉽네!' 이럴까요?ㅋㅋㅋ
이것에 대한 이야기는 잠시 뒤에 할게요^^
이 안내판 나름 되게 유명한데! 유머 사이트 같은 데서 많이 보이더라고요...
지금 무슨 생각 하셨어요? 구로역에서 출발하는 열차를 가리킬 뿐이에요. 지금 여러분 머리에 스쳐지나간 그게 아니라구요!ㅋㅋㅋ
아! 아까 하던 이야기를 계속하면, 손님들이 승강장으로 내려가기 전에 미리 몇 번 플랫폼에 자신이 탈 열차가 더 빨리 올지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답니다.^^
사실은 1,2번 플랫폼 뿐만 아니라, 인천 방면, 신창 방면 모두 각각 동인천 급행과 천안 급행이 있고, 용산 방면으로도 용산 급행이 있기 때문에.
또 이와는 별도로 구로역에서 출발하는 열차들이 있기 때문에 모든 손님들은 통로 이곳저곳에 설치된 전광판에 표시된 플랫폼 번호를 보고
자신의 목적지에 맞는 가장 빠른 열차의 플랫폼을 확인하고 열차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죠.
다른 역에서는 전광판에 플랫폼 번호까지 표시해주는 일은 별로 없거든요. 여러 선로들이 마구 뒤엉킨 구로역만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이번엔 역 밖으로 나가보도록 하겠습니다.
2번 출구 쪽이 아니라면 보통 1번 출구 쪽 AK 플라자와 연결된 통로를 이용하는데,
저는 사람들이 거의 이용하지 않는 이상한 공터로 연결된 출구로 나가보도록 하겠습니다.^^
계단으로 내려가는 도중... KTX 한 편성이 남쪽을 향해 달려가네요.
이번엔 서울메트로 전동차 한 대가 인천역을 향해 달려가고 있네요~
구로역 바로 앞에는 AK 플라자가 있답니다.^^
사실 구로역 자체는 규모가 매우 크고 철도에서는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지만,
사실 동네 자체는 그냥 아주 평범한 동네더라고요.
역 건물도 낡은 건물에 신식 건물 느낌을 어색하게 덧붙인 것 같기도 하고...
구로역 남쪽에서는 경부선이 갈라지기도 하지만, 그 갈라진 부분 바로 남쪽에 구로차량기지도 있답니다.
사실, 그 갈라진 부분 남쪽, 구로차량기지가 포함되어 있는 부분은 경부선, 경인선과 남부순환로에 의해 삼각형으로 둘러 쌓인 지역인데요,
이 지역 주민들은 소음이나 진동, 그리고 철도로 인해 동네가 단절되어 통행이 불편한 것과 관련한 문제 등으로 인해 생활 환경에 대해 불만이 많으신 것 같더라고요...
사실 철도가 정말 정신없이 얽혀 있는 곳인데다가 차량기지까지 있다 보니 도시 미관상으로도 보기 좋지 않고요...
사진에서 위의 고가 선로를 달리는 열차는 수원, 천안, 신창 방향을 향해 달리는 1호선 경부선 전동열차고요,
아래의 열차는 인천 방향을 향해 달리는 1호선 경인선 전동열차랍니다.
공식적인 한국철도 노선에 따르면, 서울역-부산역이 경부선이고, 경인선은 구로-인천이기 때문에,
1호선도 서울 중심부에서부터 내려와 수원, 천안을 지나는 경부선 쪽이 본선일 것 같지만,
엄연히 따지면 소요산-인천이 1호선의 본선이랍니다. 역번호가 순수하게 1xx 이렇게 붙는 역들이죠.
구로역-신창역은 분기된 지선이라는 뜻으로 역 번호 앞에 Point의 약자인 P가 붙어 'P1xx', 이러한 역 번호가 되는 것이죠.
오늘도 구로역에는 각자의 삶을 위해 서울로 모여드는, 혹은 서울을 떠나 다른 곳으로 갈라져 나가는 수많은 사람들의 철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요즘 봄인데도, 날씨가 너무 춥고 눈까지 오고 난리도 아니네요...
감기 걸리지 않게 조심하시고요, 행복한 주말 보내세요!^^ 벌써 금요일이네요.
+ 구로역 관할 +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서부본부 구로관리역
+ 구로역 주소 +
-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중앙로 174
+ 구로역 연혁 +
- 1969.03.25. 신호소로 개업
- 1973.06.01. 폐지
- 1973.06.30. 역사 준공
- 1973.12.01. 구로남신호소 설치
- 1974.08.15. 수도권전철 개통으로 여객 영업 시작
- 1991.06.13. 신역사 영업 개시
- 2010.--.--. 스크린도어 설치
+ 구로역과 같은 노선들의 근처역 +
- 경부선 : 서울 방면 ←---[영등포]---[신도림]---[[구로]]---[가산디지털단지]---[독산]---→ 부산 방면
- 경인선 : (기점역)[[구로]]---[구일]---[개봉]---→ 인천 방면
* 경부선 영등포역, 신도림역, 가산디지털단지역, 독산역은 모두 수도권전철 1호선 전동열차를 이용하여 가실 수 있습니다.
* 경인선 구일역, 개봉역도 모두 수도권전철 1호선 전동열차를 이용하여 가실 수 있습니다.
* 위의 근처 역 중 초록색으로 표시되고 밑줄 쳐진 역명을 클릭하시면 이 블로그 안의 그 역의 이 글이 올라오기 전 가장 최근 포스트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이 블로그 안의 구로역 관련 포스트]
- <철도가 엉키는 곳 - 경부,경인선 구로역 (2005.12.11)> (2007.2.4)
오늘은 제가 초등학교 4학년 때부터 13년 째 좋아하고 있는 가수 이수영의 생일이랍니다.^^
2013. 4. 12. 경춘선통일호™
'본역사(한국철도) > ①층 - 역(驛)'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월의 겨울 - 호남선 가수원역 (2013.5.10) (0) 2013.05.11 아찔했던, - 서울지하철7호선 철산역 (2013.2.24) (0) 2013.04.19 리얼 차이나 타운(Real China Town) - 서울지하철7호선 남구로역 (2013.2.24) (0) 2013.04.09 경계(京界)에서... - 경부선 독산역 (2013.2.24) (0) 2013.03.22 잊혀진 가리봉 - 경부선,서울지하철7호선 가산디지털단지역 (2013.2.24) (0) 2013.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