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의 용산역 - 호남선,대전선 서대전역 (2013.5.10)본역사(한국철도)/①층 - 역(驛) 2013. 7. 19. 12:57
안녕하세요. 경춘선통일호입니다^^
정말 오랜만이에요~ㅠ.ㅜ 이렇게 제대로 글을 쓰는 건 완전 오랜만인 것 같네요...
지난 1학기가 복학 후 첫 학기였는데, 입학하고 나서 가장 바빴던 것 같아요. 얼마나 정신없이 보냈는지...
거기다가 그 뒤에 바로 이어진 여름계절학기까지 너무 정신이 없어서 블로그에 거의 들어와보지도 못하고 지냈네요...
이제는 진정한 방학이 시작되었으니 열심히 포스팅을 할게요!
오늘 소개해 드릴 역은 5월의 역(지금이 몇 월인데.ㅠ.ㅜ) 가수원역과 그 친구들(?) 두 번째로, 서대전역에 대해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대전지하철 1호선 서대전네거리역 내려 서대전역을 향해 걷기 시작했습니다.
서대전역은 대전의 양대 철도역 중 하나이지만 서대전역과 바로 연결되는 지하철역은 없고,
1호선 오룡역이나 서대전네거리역에 내려서 걸어가야 한답니다.
제가 서대전역을 찾아갔을 때는 부처님 오신 날 즈음이었기 때문에 길거리 여기저기에 예쁜 연등이 걸려있었어요^^
10분 정도를 걸어서 서대전역 앞에 도착했습니다!
서대전역은 호남, 전라선 모든 KTX, 새마을호, 무궁화호가 정차하는 주요역 중에 하나라서 사람이 항상 많습니다.
서대전역은 서울로 치면 용산역과 비슷한 지위에 있는 역이라고 보시면 되는데요,
서울에서도 경부선, 대구선 쪽, 그러니까 남동쪽으로 가는 열차는 서울역에서 출발하고,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등 남서쪽으로 가는 열차는 대부분 용산역에서 출발하잖아요.
즉 서울역과 용산역이 방면 별로 역할을 나누어 갖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인데,
대전 역시 대전역은 경부선, 대구선 등 남동쪽으로 가는 열차가 정차하는 역이고,
서대전역은 호남선, 전라선 등 남서쪽으로 가는 열차가 정차하는 역이랍니다.
하지만 서울역-용산역의 관계와 대전역-서대전역의 관계는 아주 큰 차이점이 하나 있는데요,
서울역-용산역은 둘 다 같은 노선인 경부선 상의 역이고 단순히 인위적으로 역할을 그렇게 정해 놓은 것인데,
대전역-서대전역은 아예 선로가 물리적으로 나뉘어 있거든요. 대전역과 서대전역의 북쪽에서 이미 경부선으로부터 호남선이 분기되기 떄문에,
대전역과 서대전역은 서로 다른 노선에 뚝 떨어져 있어요. 대전역은 경부선, 서대전역은 호남선에 있는 역이죠.
그런데 호남선이 처음 개통되었을 때는 대전역이 호남선 열차의 시종착역이자 호남선의 기점이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이미 대전 북쪽에서 경부선과 호남선이 갈라지는 데 그게 어떻게 가능했을까요? 그것에 대해 지금부터 이야기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호남선은 일제에 의해 1910년에 건설이 시작되어서 1914년에 개통되었습니다.
당시 호남선은 서울방면으로는 선로가 연결되어 있지 않았고 위의 그림처럼 대전역에 부산 방향을 향해 선로가 연결되어 있었답니다.
따라서 서울에서 출발해 호남선 방면으로 가는 열차들은 대전역에 멈추어 기관차를 분리 돌려서 반대편에 다시 연결해야 했고,
그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이 엄청났다고 해요. 또 승객들도 반대방향으로 돌아앉아야 하는 등 불편한 점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고 하네요.
사실 호남선이 처음 개통되었을 때는 서대전역 위치에 역이 없었다고 해요.
서대전역은 지역 주민들(당시 충청남도 대전군 유천면)의 요구에 따라 지어진 것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제가 약간 위의 그림에서 실수한 게 있는데 1914~1936년 사이에는 서대전역이 없었어요.^^
그냥 선로 그림만 참고로 봐 주세요~ 물론 1936년 서대전역 개통 이후에는 위 그림이 맞습니다.
그래서 1944년에 '오정선'이라는 단선 노선이 개통되었습니다.
오정역은 현재의 대전 한남대학교 근처에 있는 역이었는데요, 여객을 취급하던 역은 아니고 신호장이었다고 합니다.
오정선의 처음 개통되었을 때는 오정선의 역할이 별로 크지 않았지만,
1959년부터는 서울에서 호남선 방면으로 가는 열차는 대전역을 거치지 않고 오정선을 통해 바로 서대전역으로 가게 되었고,
이 때부터 서대전역이 대전역과 쌍벽을 이루는 또 하나의 중요한 역으로 부상하기 시작한 것이죠.
하지만 경부선에 비해서 호남선의 수요는 적은 편이었는데다가 단선이었기 당시 오정선과 호남선은 단선이었기 때문에 대전역보다는 중요성이 작았습니다.
그리고 당시에는 서대전역 주변이 지금처럼 대전 시내 지역이 아니었기 때문에 서대전역 자체의 수요도 그리 많지는 않았다고 하네요...
그 뒤에 호남선의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1978년에 당시 호남선 대전역에서 익산역까지의 구간이 복선화 되었답니다.
이와 함께 단선이면서 평면교차를 통해 경부선에서 분기되는 오정선은 선로용량 등의 문제로 폐선되게 되었고 자연스럽게 오정역도 폐역이 되었습니다.
대신 이 때 한국철도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역 중에 한 곳인 '대전조차장역'이 생겨나게 됩니다.
조차장은 말 그대로 '열차를 조성'하는 업무를 맡는 역을 말해요. 화물열차나 여객열차를 분리하고 연결해 열차를 만드는 등의 작업을 하는 곳이죠.
어쨌거나 새로 건설된 대전조차장역에서는 기존의 오정선과는 달리 경부선과 호남선의 분기 지점이 입체교차 방식으로 건설되어서 더 많은 열차가 지나갈 수 있었고요,
또한 대전조차장역과 서대전역 사이의 선로 역시 단선이었던 오정선과는 달리 복선으로 건설되었고요.
이렇게 건설된 이 노선의 이름이 바로 '대전선'이었답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는 2004년 3월 31일 KTX가 처음으로 개통되던 날까지 이어졌고요,
그 후 철도 노선과 실제 열차 운행 계통의 차이에 대한 지적이 계속되었답니다.
대전역-광주역 1왕복을 제외한 모든 호남선, 전라선 열차가 대전조차장에서 바로 분기해 대전선을 따라 서대전역을 지나 호남선으로 진입하는데,
굳이 서대전역에서 대전역으로 연결되는 구간을 호남선 본선으로 할 이유가 있냐는 지적이 나온 것이죠.
결국 KTX가 처음 개통되던 날인 2004년 4월 1일, 호남선은 위의 노선도처럼 대전역 대신 대전조차장역을 기점으로 하는 노선으로 바뀌었고요,
기존의 대전선인 대전조차장-서대전 구간이 호남선 본선으로 편입되고, 원래 호남선이었던 대전역-서대전역 구간은 대전선의 이름을 받게 되었답니다.
그리고 원래 경부선과 대전선이라는 짧은 지선 노선의 분기역이었던 대전조차장역은
갑자기 경부선과 호남선의 분기역이 됨과 동시에 KTX의 개통으로 북쪽으로는 경부선과 경부고속선이 분기하는 역이 되었답니다.
사실은 이 점이 좀 아쉽기는 해요. 지금 상황으로는 대전조차장역에서 경부선, 경부고속선, 호남선 열차 등 굉장히 많은 열차들이 이 역을 통과하는데,
만약 지금처럼 양방향으로 나뉘는 게 아니라 대전조차장역 위치에 한꺼번에 모든 노선을 처리할 수 있는 역이 있었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거든요.
대전에서 경부선-호남선을 갈아탈 방법은 대전역과 서대전역 사이를 지하철로 이동하는 수 밖에 없거든요.
그리 먼 거리는 아니라고 해도 우선 나갔다 들어갔다 하는 것도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같은 역이 아니기 떄문에 철도 승차권 환승할인도 적용되지 않고요.
물론 대전조차장역 바로 위에 회덕역과 신탄진역이 있지만, 회덕역은 아예 여객취급을 하지 않고 있고, 신탄진역도 모든 열차가 정차하는 역은 아니라서요.
한편, 대전선은 현재 경부고속철도 대전도심통과구간 공사로 인해 선로가 걷힌 상태랍니다.폐선이 된 건 아니지만, 선로가 없기 때문에 철도 노선으로서의 기능은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자연히 대전역-광주역 열차 역시 대전-서대전 간 선로가 사라져서 서대전-광주로 단축되었고요.yahpp 님이 댓글로 알려주셨는데요, 현재는 고속철도 공사가 끝나서 다시 대전선으로 열차가 운행되고 있고,
따라서 대전-광주 열차는 대전역-광주역으로 정상적으로 운행되고 있다고 합니다.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어쨌든 서대전역은 대전역과 함께 대전 시내의 주요 역이기 때문에 앞에서도 이야기했듯이 손님이 많은 편이랍니다.^^
서대전역 앞은 아파트단지가 많은 것 같고요, 남쪽으로 조금 가면 술집이나 식당이 많이 몰려있는 골목길도 나오더라고요.
사실 70년대만 해도 서대전역 근처는 대전시 외곽이었고, 주변이 지금처럼 도시 지역도 아니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대전 시가지가 점점 확대되고 유성구 등 서쪽 지역으로 시가지가 확장되면서 수요가 많아지고 새마을호 등 모든 열차가 정차하는 역이 된 것이죠.
지금의 현대식 역사는 2004년 KTX 개통에 맞춰 건설된 것이라고 합니다.
그럼 이상으로 서대전역 포스트를 마치겠습니다.
글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다음에 또 뵙겠습니다!^^
+ 서대전역 관할 +- 한국철도공사 대전충남본부 서대전관리역
+ 서대전역 주소 +
- 대전광역시 중구 오류로 23 (오류동 74)
+ 서대전역 연혁 +
- 1936.10.10. 영업 시작
- 2004.04.01. KTX 운행 개시 및 현 역사 신축 준공
- 2006.07.01. 보통역(2급)으로 변경
- 2008.01.01. 장항선 일부 무궁화호 열차의 시종착역이 됨+ 서대전역과 같은 노선의 근처 역 +
- 호남선 : (기점)대전조차장---[[서대전]]---[가수원]---[흑석리]→목포 방면
- 대전선 : (기점)대전---[[서대전]](종점)
* 호남선 대전조차장역, 가수원역과 흑석리역은 철도를 이용해 가실 수 없습니다.
* 대전선 대전역은 굳이 철도만을 이용해 가신다면 호남선 무궁화호를 이용해 신탄진역으로 가신 뒤 경부선 무궁화호로 갈아타고 가실 수 있지만, 이 방법은 매우 비정상적인 방법이고, 서대전네거리역에서 지하철을 이용하셔서 대전역으로 가시거나 시내버스를 이용하는 것이 훨씬 빠르고 편리합니다.
* 위의 근처 역 중 초록색으로 표시되고 밑줄 쳐진 역명을 클릭하시면 이 블로그 안의 그 역의 이 글이 올라오기 전 가장 최근 포스트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2013. 7. 19. 경춘선통일호™
'본역사(한국철도) > ①층 - 역(驛)'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3년 한 해 동안 저의 발길이 닿은 역입니다.]★ (0) 2013.12.31 부활을 꿈꾸다 - 호남선 흑석리역 (2013.5.10) (0) 2013.08.10 오월의 겨울 - 호남선 가수원역 (2013.5.10) (0) 2013.05.11 아찔했던, - 서울지하철7호선 철산역 (2013.2.24) (0) 2013.04.19 만남, 그리고 헤어짐 - 경부선,경인선 구로역 (2013.2.24) (0) 2013.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