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봉하마을로 가는 관문 - 경전선 진영역 (2014.8.14)본역사(한국철도)/①층 - 역(驛) 2014. 8. 24. 17:57
안녕하세요~ 경춘선통일호입니다!
오늘은 경상남도 김해시에 위치한 진영역에 대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진영역에는 이 글을 쓰는날로부터 약 열흘 전인 8월 14일에 다녀왔는데요, 그 날엔 남부지방에 비가 정말 많이 왔었답니다. 기차를 타고 진영역까지 가는 내내 거의 비가 왔었던 것 같아요. 중부지방에도 비가 오긴 왔지만 특히나 남부지방에 비가 많이 왔던 것 같네요.
진영역에는 동대구역부터 진주행 무궁화호를 타고 왔습니다. 사실 이때 저는 내일로 티켓으로 여행 중이었거든요. 이 날이 바로 첫 날이었답니다^^
저는 진영역에 무궁화호를 타고 왔지만, 진영역은 경전선 KTX 일부 열차와, 일반열차(ITX-새마을, 무궁화호) 전 열차가 정차하는 지역의 명실상부한 중심역입니다. 또한 남도해양관광열차인 S-train도 진영역에 정차하고 있죠. 지금은 진영역이 김해시 진영읍에서 조금 떨어져 있지만, 원래 진영역은 진영읍내와 더 가까웠다고 합니다. 혹시 모르실까봐 미리 설명드리자면요, 진영역을 지나는 '경전선' 철도는 경상남도 밀양의 삼랑진역과 광주광역시의 광주송정역을 잇는 노선입니다. 경전선 전구간을 운행하는 열차는 부산광역시의 부전역에서 전라남도 목포시의 목포역을 잇는 열차가 있는데요, 운행되는 열차나 노선 구간 자체를 보시면 알 수 있듯이 경상도와 전라도를 잇는 노선입니다. 그래서 노선 이름인 '경전선' 역시 경상도의 '경', 전라도의 '전'을 따와 만들어진 이름이죠.
경전선은 원래 아주 꼬불꼬불하기로 유명한 노선이었고, 그래서 KBS의 '다큐3일'이라는 프로그램에서는 '세상에서 가장 느린 기차 - 경전선'이라는 제목으로 경전선 철도를 소개한 적도 있었습니다. 물론 지금도 원래의 그 꼬불꼬불한 구간이 대부분이기는 하지만, 삼랑진에서 진주까지는 2010년과 2012년에 걸쳐 복선전철화가 되면서 선로가 직선화 되었답니다. 당연히 그 과정에서 그 구간의 역들도 이설되면서 새로 지어졌고요. 그 중 진영역은 원래의 위치에서 조금 더 김해 시내에 가깝게 건설되면서 진영읍과는 멀어지고 김해시내와는 조금 더 가까워졌습니다. 물론 여전히 진영읍내하고 훨씬 가깝긴 하지만요.^^
이렇게 경전선이 복선전철화 되면서 서울-진주를 오가는 경전선 KTX가 신설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창원(舊 마산시 지역 포함), 진주 등 경상남도 지역에서도 KTX를 이용해 대구, 대전, 서울 등으로 빠르게 바로 갈 수 있게 되었죠^^ 물론 경전선 KTX가 밀양까지 동쪽으로 쭉 돌아가는 바람에 진주 쪽에서는 차라리 서울을 갈 때는 그 비싼 가격에 KTX를 타느니 돈 조금 덜 내고 시간 조금 더 오래 걸려도 버스를 타는 것이 낫다는 분들도 많기는 하더라고요.
어쨌거나 KTX가 경전선으로 접어들어 창원시로 진입하기 전에 김해시 땅도 지나는데요, 김해시에는 한림정역, 진영역, 진례역 이렇게 세 군데의 역이 있고, 이 세 역 중 어느 역도 김해 시가지와는 꽤 떨어져 있었습니다. 어쨌든 그래도 김해시를 지나니까 이 세 역 중에 한 곳에는 KTX를 세워야 해서 원래 코레일(한국철도공사)에서는 진례역에 KTX를 세우려고 했다고 합니다. 사실 제가 위에 진영역까지 세 역을 써 놓기는 했지만 애초에 경전선 복선전철화 계획에서 진영역은 빠져 있었다고 해요. 즉 폐역될 운명이었다는 거죠. 대신 새로 신설되는 진례역에 진영역의 기능을 모두 이관하려고 했던 것이죠. 진례역이 직선 거리로는 김해 시가지와도 조금 더 가깝기도 하고요. 그래서 코레일에서는 진례역을 여느 KTX 정차역들과 마찬가지로 굉장히 큰 규모로 설계를 했고 실제로도 그렇게 건설되었습니다. 하지만 진영역 폐역 계획을 들은 지역 주민들의 강한 반대로 진영역 역시 새 경전선에 남아 있게 되었고 주민들의 주장에 따라 진영역이 KTX 정차역으로 선정된 것입니다. 결국 이 와중에 진례역은 크기만 엄청 크고 역으로서의 기능은 사실상 간이역이나 마찬가지인 역이 되었죠. 현재 진례역에는 하루 12편의 무궁화호 열차만이 정차하고 있고 하루 이용객도 수십 명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어쨌든 그렇게 살아남은 진영역은 꽤나 성공적으로 잘 운영이 되고 있고요, 김해시내와 진영읍내의 수요를 모두 잘 잡고 있습니다. 이용객도 꽤 많은 편이고요.
진영역은 승강장과 역사의 위치가 조금 특이한데요, 승강장은 산을 절개해서 만든 절개지를 달리기 때문에 움푹 들어가 있는 반면, 역사는 절개지 위편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승강장에서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한 층 올라가면, 그 통로가 진영역사의 1층이 되는 구조이죠. 바로 위의 사진에서 보실 수 있듯이요.
진영역의 내부는 그저 그런 평범한 새로 지은 철도역의 모습입니다.
진영역은 김해시내로 가장 편하게 진입할 수 있는 철도역이기도 하지만, 또 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생가 및 노무현 전 대통령 부부가 퇴임 후 지내시던, 그리고 지금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부인인 권양숙 여사가 지내고 계신 사저가 위치한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에서 가장 가까운 철도역이기도 합니다. 진영역에서 봉하마을은 김해시 10번 시내버스를 이용해 가실 수 있고요, 봉하마을을 찾는 손님들 및 여행객들이 진영역을 많이 이용하다보니 진영역에도 봉하마을 안내책자가 비치되어 있었습니다.
저는 시간관계상 봉하마을을 방문하지는 못했는데요, 다음에 또 김해를 찾게 될 기회가 있다면 다음에는 꼭 봉하마을을 방문해 보고 싶네요...
혹시나 봉하마을 가는 방법으로 검색해서 들어오신 분들이 있으실까봐 진영역에서 봉하마을로 오가는 10번 버스 시간표도 알려드릴게요.
김해 10번 버스 시간표 (평일 / 진영역↔봉하마을 / 2015. 8. 10. 기준)
진영역 → 봉하마을
06:20 / 07:30 / 09:00 / 10:30 / 12:10 / 13:40 / 15:00 / 16:30 / 18:30 / 18:47 / 21:30
봉하마을 → 진영역
06:20 / 08:00 / 09:30 / 11:00 / 13:10 / 14:05 / 15:00 / 17:30 / 19:00 / 20:30
※(시간표가 바뀔 수도 있으니 김해시버스정보시스템(http://bus.gimhae.go.kr/)을 꼭 참고하세요^^※
2010년 말에 새로 지어진 역사인만큼 깔끔한 신식 역사의 모습이네요.
진영역 바로 주변은 사실 썰렁한 시골 마을인데요, 역 바로 앞에 '진영 방면'과 '김해 방면' 버스 정류장이 나란히 붙어 있답니다. 여기서 자주 운행되는 시내버스를 타시면 김해시내나 진영읍내로 들어가실 수 있는 것이죠. 14번 버스가 가장 자주 운행되는 것 같더라고요. 저는 김해시내로 갔는데 14번 버스가 15~20분에 한 대 정도 운행이 되는 것 같았습니다. 진영역에서 김해시내까지는 14번 버스를 타고 20~30분 가량 소요되는 것 같았습니다. 여담이지만 저는 이 날 김해 시내에 가야 유적지들을 보러 갔었어요.ㅋㅋ 이 이야기는 나중에 내일로 여행기에서 자세히 해드리겠습니다^^
어쨌거나 우여곡절 끝에 지금의 모습을 가지게 된만큼 김해시민들과 여행객 분들이 진영역을 많이 이용하셔서 더욱 활기찬 역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다만 한 가지 안타까운 점은 2018년 개통 예정인 부전-마산 복선전철 노선에서 진영역은 제외되었고 부전-사상-장유-창원중앙을 바로 연결하는 노선으로 계획되었다는 것이죠. 이렇게 되고 나면 부산-김해(장유)-창원(마산역)까지 부산권 광역전철이 운행될 예정인데요, 진영역은 안타깝게 약간의 차이로 이 노선에서는 비켜가게 되었네요. 이 공사가 완료되면 새로 건설되는 부전-마산 복선전철이 경전선 본선 구간이 되고 진영역을 포함한 삼랑진-진례 구간의 현 경전선 동쪽 구간은 부산신항선에 편입된다고 하더라고요. 하지만 이렇게 되더라도 기존의 일반여객열차는 그대로 운행한답니다.^^ 단지 부산권 전철이 다니지 않는 것이 조금 아쉬울 따름이죠. 물론 김해시민들은 더 가까운 곳에 전철역을 가지게 되겠지만요^^
그럼 진영역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진영역 관할 +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 진영역 주소 +
-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김해대로 809
+ 진영역 연혁 +
- 1905.05.13.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
- 1943.09.10. 역사 신축 준공
- 2006.05.01. 소화물 취급 중지
- 2010.09.01. 화물 취급 중지
- 2010.12.15. 경전선 복선전철화에 따른 역사 이전, KTX 운행 개시
- 2013.09.27. 남도해양관광열차 정차 개시+ 진영역과 같은 노선의 근처 역+
- 경전선 : 삼랑진 방면 ←---[낙동강]---[한림정]---[[진영]]---[진례]---[창원중앙]---→ 광주송정 방면
- 경전선 낙동강역은 철도를 이용해 가실 수 없으며, 한림정역과 진례역, 창원중앙역은 경전선 무궁화호를 이용해 가실 수 있고, 창원중앙역은 경전선 KTX, ITX-새마을 및 S-train을 이용해서도 가실 수 있습니다.
2014. 8. 24. 경춘선통일호™
'본역사(한국철도) > ①층 - 역(驛)' 카테고리의 다른 글
MT의 대명사 - 경춘선 대성리역 (2015.1.17) (0) 2015.02.19 ★[2014년 한 해 동안 저의 발길이 닿은 역입니다.]★ (0) 2014.12.31 대나무밭의 '신세계(Shinsegae)' - 분당선 죽전역 (2014.3.16) (0) 2014.07.05 두 번째 '경희대역' - 분당선 영통역 (2014.3.16) (0) 2014.04.12 ★[2013년 한 해 동안 저의 발길이 닿은 역입니다.]★ (0) 2013.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