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드러~운 환승통로 - 서울지하철2호,5호선 충정로역(2006.7.17)본역사(한국철도)/①층 - 역(驛) 2007. 1. 18. 02:27
The Station 62 - 서울지하철2호선,5호선 충정로역
(본론에 들어가기 앞서 한 마디 : 오늘은 스티커가 좀 난잡하죠?^^;;;;)
충정로역은 서울지하철 2호선과 5호선의 환승역입니다.
2호선에서 역번호의 숫자가 가장 큰 역(?)입니다.
다른 노선이라면 그냥 가장 끝에 있다고 표 했겠지만,
2호선은 순환선이라... 충정로역이 243번이고, 그 바로 전 역인 아현역이 242번,
충정로역 다음역인 시청역은 201번 역이죠. 시청역부터 한 바퀴 돌아
시청역 직전의 역이 충정로역인 것입니다.
어쨌든 이러한 사실은 지하철 이용객들에게는 사실상 그지 중요한 사실이 아니죠...ㅡ.ㅡ;;
충정로역의 부역명은 경기대입구역입니다.
"충정로(忠正路)"라는 지명은
을사조약에 반대하여 자결한 민영환의 시호인 충정을
기념하기 위하여 붙인 것에서 유래했다고 하네요.
충정로역에서 환승을 하면서 조금 특이한 점을 하나 발견했습니다.
보통 환승통로라 생각하면 직선으로 쭉쭉 뻗다가 말고 미로처럼 얽히거나
어쨌든 이리저리 사방으로 각진 모습이 생각되는데요,
충정로역은 조금 다릅니다. 아주 부드러운 곡선으로 되어 있습니다.
우선 아래의 역 주변안내도를 보시지요.(이건 무슨 말투?)
주변안내도이지만, 주변 말고 역 구조를 주목해주세요.(그래서 주변 다 잘랐습니다.ㅋ)
초록색의 2호선 충정로역과 보라색의 5호선 충정로역을 연결하고 있는
보라색 선이 충정로역의 환승통로입니다. 부드럽게 휘었죠?
실물사진으로 보실까요?
5호선을 갈아타러 가다가 찍은 사진입니다.
환승통로는 어차피 한 길이기 떄문에 어느쪽 방향으로 가던 상관은 없습니다.
그냥 저는 5호선을 갈아타러 가다가 찍었다는 얘기었어요..(참.. 누가 뭐랬나..ㅡ.ㅡ;;)
이런 역이 더 있는 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있다면 소개해 주세요.
어쨌든 제가 본 역 중에는 처음이었기 대문에 정말 신선했답니다^^
이 곳은 5호선 충정로역... 썰렁한 모습...
열차가 들어옵니다.
(그나저나... 제가 갑자기 충정로역은 왜 갔었냐면요...
제 목적지는 1호선 청량리역이었고, 2호선을 타고 가고 있었거든요.
보통 시청역에서 1호선으로 갈아타잖아요. 저도 당연히 그럴 생각이었고요,
그런데 충정로역 도착 안내방송을 듣자마자 갑자기 충동적으로 충정로역에 내렸습니다.
5호선이 타고 싶어져서요... 5호선은 태어나서 이전까지 2번밖에 못 타봤었거든요.
충정로역에 내려서 5호선으로 갈아타고 종로3가역까지 가서
1호선으로 다시 갈아타고 청량리까지 갔답니다.
제 정신세계가 독특하다고 하실 분들도 있겠지만, 전 나름대로 정상이라고 생각...)
(혹시 루트가 이해가 안되시면 아래의 노선도를 참고...)
[충정로역 출구별 안내]
1번 출구 - 충정로3거리
2번 출구 - 충정로3가
3번 출구 - 서울시상수도사업본부
4번 출구 - 의주로2가, 한국경제신문사
5번 출구 - 중림파출소, 경기여자상업고등학교
6번 출구 - 아현동, 가구상가
7번 출구 - 아현전화국, 가구상가
8번 출구 - 충정로동사무소, 충정로파출소, 해양수산부, 동아일보사
9번 출구 - 합동, 프랑스대사관
10번 출구 - 충정로3거리, 서부수도사업소[충정로역 주변 노선도]
2007.1.17.
™
'본역사(한국철도) > ①층 - 역(驛)'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4년, 읽는 즐거움 - 정선선 정선역 (2004.10.31) (0) 2007.01.27 중원의 느낌 - 충북선 충주역 (2005.1.2) (0) 2007.01.26 여기는 가리봉 - 경부선 가산디지털단지역 (2006.7.17) (0) 2007.01.13 Box - 경부선 평택역 (2006.7.17) (0) 2007.01.11 크리스마스에, 너 참 시원해 보인다~ - 경부선 동대구역 (2006.12.25) (0) 2007.01.08